티스토리 뷰
링크 옵션
컴퓨터는 항상 같은 IP를 할당받을 수는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링크하여 연결할 수 있게 한다
[명령어]
docker run -itd --name c2 --link [컨테이너명] centos:7
c2를 c1에 링크하지 않은 상태로 네트워크 연결 없이 c2에서 c1으로 핑을 보내면 보내지지 않지만, c1의 IP로 핑을 보내면 보내진다
이번엔 c3 컨테이너를 만들어 c1, c2와 링크한다
이 상태에서는 IP를 지정하지 않아도 c1과 c2로 바로 핑이 보내진다
c3의 /etc/hosts 파일을 확인해보면 해당 파일에 c1, c2가 등록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컨테이너를 링크할 때 해당 컨테이너에 이름을 붙여 따로 구분할 수도 있다
docker run -itd --name c4 --link c1:DDU --link c2:DDU2 --link c3:DDU3 centos:7
이 경우 별도로 붙인 이름에 핑을 보내도 문제없이 보내진다
하지만 링크의 경우 컨테이너의 IP가 바뀌는 것은 찾아갈 수 있지만 이름이 바뀌면 찾아가지 못한다
c2까지 만든 뒤 여기서 잠시 c1을 정지시킨다 (docker stop c1)
c3까지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c1을 재시작시키면
c1의 IP가 변경됐다
링크된 컨테이너의 IP가 바뀌어도 핑이 잘 간다
스크립트로 이 과정을 진행해본다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컨테이터 생성-정지-재시작 및 IP가 바뀐 컨테이너로 핑이 가는 모습을 확인
도커에서 사용하는 mysql
여길 보면 -e 옵션을 쓴다
이 옵션으로 경로를 지정해주면 해당 디렉터리로 가지 않아도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우리는 배웠다
mysql은 root password를 지정해주면 root로 권한을 수행항 수 있다
여기 접속하려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컨테이너로 서버를 구성하고 mysql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 yum install -y mysql57-community-client
가상머신에서 컨테이너의 mysql로 접속이 가능하면 성공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file (0) | 2022.06.03 |
---|---|
docker import, export (0) | 2022.05.31 |
Object Storage를 이용한 Docker httpd 이미지 업로드 (0) | 2022.05.30 |
Docker 기본 조작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