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in/bash sudo su - setenforce 0 yum install -y wget httpd wget https://ko.wordpress.org/latest-ko_KR.tar.gz tar xvfz latest-ko_KR.tar.gz cp -a wordpress/* /var/www/html/ cp /var/www/html/wp-config-sample.php /var/www/html/wp-config.php sed -i 's/'database_name_here'/'mysql'/g' /var/www/html/wp-config.php sed -i 's/'username_here'/'root'/g' /var/www/html/wp-config.php sed -i 's/'password_here..

구글 클라우드에서 자체적으로 DNS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영역 이름과 DNS 이름을 지정해주면 만들 수 있다 이 때 DNS이름은 hosting.kr에서 받은 도메인을 사용하자 DNS를 생성하면 기본적인 SOA와 NS가 주어진다 NS를 열어보면 네임서버로 사용할 수 있는 도메인이 나온다 이것을 hosting.kr에서 네임서버명으로 등록한다 끝의 .을 빼주어야 등록이 된다 레코드 세트를 추가해보자 DNS 이름을 붙이고 도메인을 붙일 서버의 공인 IP를 가져와 넣어준다 그럼 레코드 하나가 추가된다 여기에 httpd와 dns 방화벽을 각각 추가해주면 nslookup에서도 도메인을 찾을 수 있고, 해당 서버에서 만든 페이지가 도메인으로도 연결이 된다 ftp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을 마친 뒤 GCP에서 방화벽을 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