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서브네팅은 이렇게 해둔 상태로 라우터 설정을 해보자
기본 설정(hostname 부여, 패스워드 설정, domain lookup 중지, 평문 암호의 암호화 등)을 해둔다
그리고 콘솔로 접속 (line con 0) 하고 패스워드 설정, 로그인, exec-timeout, logging synchronous 설정
아이피를 부여해준다
LAN 구간을 먼저 세팅해주고 WAN 구간을 세팅해줘야 통신이 원활하다
왼쪽 라우터의 ip 부여
오른쪽 라우터의 ip 부여
해주면 모두 초록색이 뜬다
같은 네트워크 내에선 핑도 잘 보내진다
근데 옆 라우터로는 가는길을 모른다
왼쪽 라우터의 CLI로 가보자
ip route를 물어보면 옆으로 넘어가는 ip route가 지정이 안되어있다
연결해야 하는 IP를 지정해준다
show ip route로 static 지정이 된 것을 확인 가능
이제 193으로 핑은 간다
근데 194로는 돌아오지 못한다
반대로 가는 목적지는 알 수 없게 되기 때문!
이제 오른쪽 라우터가 모르는 네트워크를 알려주자
이제 핑이 보내진다
default static route로도 연결이 가능하다
양쪽을 이렇게 연결하면 전체 네트워크로 설정이 가능하다
'Network > PacketTra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P (Spanning Tree Protocol) (0) | 2022.04.18 |
---|---|
Packet Tracer에서 Router 환경 작업 (0) | 2022.03.11 |
Packet Tracer 시작하기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