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Router
-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라우팅 테이블에 의하여 패킷을 최적의 경로로 전송한다
Switch
- 동일 네트워크에서 Node를 확장한다
- MAC Address 테이블에 의하여 프레임을 최적의 경로로 전송한다
Load Balancer
- 트래픽을 여러 경로로 분산시킨다
Layer4 : IP와 Port 기반
Layer7 : 상위 계층의 구분에 따라서 로드 밸런싱
Fault Tolerant : 결함 감내, 즉 결함을 허용한다는 의미로 장애 발생 시 다른 장비가 그 역할을 즉각적으로 수행하여 장애에 대비한다
Firewall
- 3계층과 4계층 기반, Ip와 Rort 정보 기반으로 방어
IDS
- 침입 탐지 시스템, 소극적
IPS
- 침입 방지 시스템, 적극적
Web Firewall
- 동일 Site 내의 특정 페이지 필터링
NAC (Network Access Controller)
-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전 보안정책 준수 여부 검사, 네트워크 사용을 제어
- 네트워크 사용 사전 동의 후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
- 미 인증 사용자 네트워크 제한
- 필수 소프트웨어 미설치 단말에 경고창 팝업 또는 특정 네트워크의 접속을 제한
Broadband Router 공유기 (Wireless Router)
- 간단한 라우팅, NAT, DHCP 기능을 갖춘 Home Network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Network 주소 변환 기능
- DNAT : 주로 들어오는 패킷의 목적지 주소 변경 (PortForwarding)
- SNAT : 외부로 나가는 패킷의 소스 주소 변경, 사설 IP를 공인 IP로의 변경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Host 구성
- 대부분 IP를 자동으로 구성 가능
- 본래 목적은 IP의 효율적인 사용 및 관리를 위해서 개발됐다
OSI 7 Layer
- OSI(Open system Interconnettions Reference Model) - ISO
-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별로 나누어 설명
- 데이터의 흐름을 알 수 있다
- 각 계틍별 기능과 역할을 통해 데이터 전달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
- 트러블슈팅/문제해결이 쉽다
-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이 용이하다
- 표준화
- 장비 호환성 - 초창기에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했다
7계층 : Application (응용 계층) ┐
6계층 : Presentation (표현 계층) ┼ 상위계층 통틀어 [Data]
5계층 : Session (세션 계층) ┘
4계층 : Transport (전송 계층) - Gateway, [Port] (단위 : Segment)
3계층 :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Router, [IP] (단위 : Packet)
2계층 :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 Switch, [MAC] (단위 : Frame)
1계층 : Physical (물리 계층) - Cable (단위 : Bit)
7~5계층 : 상위계층
4~1계층 : 하위계층
상위계층
Layer 7 Application 응용계층 : App 처리
- 데이터 생성을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 HTTP, FTP, Telnet 등
Layer 6 Presentation 표현 계층 : 데이터 표현 방법 (확장자)
- 7계층에서 만든 데이터에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데이터 표현 방식을 전달
- Jpg, mp3, 압축 등
Layer 5 Session 세션 계층 : 통신 시작과 종료
- 응용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 간에 연결을 맺거나 끊기, 연결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
- 물리적, 논리적 연결 담당
- Kernel과도 관련이 있음
Layer 4 Transport 전송 계층 : TCP, UDP, L4 스위치, Gateway, Segment
- 데이터 전송 방식 (TCP, UDP) 결정 및 서비스 포트번호 구별, 네트워크 통신 관리
- 참조 ( TCP / UDP의 포트 목록 )
포트 | TCP | UDP | 설명 |
1 | TCP | TCPMUX (TCP 포트 서비스 멀티플렉서) | |
7 | TCP | UDP | ECHO 프로토콜 |
20 | TC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 데이터 포트 | |
21 | TC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 File Transfer Protocol) - 제어 포트 | |
22 | TCP | 시큐어 셸 (SSH, Secure SHell) - ssh scp, sftp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 |
23 | TCP | 텔넷 프로토콜 (Telnet Protocol) -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 |
25 | TCP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 전송에 사용 | |
49 | UDP | TACACS 프로토콜 | |
53 | TCP | UDP |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Domain Name System) |
80 | TCP | UDP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페이지 전송 |
110 | TCP | POP3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 - 전자우편 가져오기에 사용 | |
143 | TCP |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 4 (IMAP4,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4) -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 |
445 | TCP | Microsoft-DS (액티브 디렉터리, 윈도 공유, Sasser-worm, Agobot, Zobotworm) | |
465 | TCP | SSL 위의 SMTP - Cisco 프로토콜과 충돌 | |
990 | TCP | SSL 위의 FTP (암호화 전송) | |
992 | TCP | SSL 위의 Telnet (암호화 전송) | |
993 | TCP | SSL 위의 IMAP4 (암호화 전송) | |
995 | TCP | SSL 위의 POP3 (암호화 전송) |
↑주로 사용하는 Port 번호
Layer 3 Network 네트워크 계층 : IP, ICMP, IGMP, ARP, RARP, Router, Packet
- 논리적 주소(IP 주소)를 기반으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데이터 경로 설정
- 최적 경로 설정 -> Routing Protocol, 네트워크 통신 경로 선택
Layer 2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 Ethernet, HDLC, PPP, Switch, Frame
- 물리적 주소(MAC 주소)를 기반으로 노드대 노드로 데이터 전송 형태를 결정, 기기간 처리
Layer 1 Physical 물리계층 : Cable, Hub, Bit, 전기적인 접속
'Network > Network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Address와 IP Address, SubnetMask (0) | 2022.03.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