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Mail (Thunderbird)
Mail (전자우편)
보내는 Mail Server
- SMTP : TCP 25
받는 Mail Server
- POP : TCP 110
- 메일을 읽으면 Client쪽으로 다운로드됨
- 전용 단말이 없는 경우 사용하면 여러 군데로 흩어진 메일을 모아야 하는 단점이 발생
- IMAP : TCP 143
- 메일을 읽어도 서버에 남음
- 메일 사서함 용량 관리 필요
- dovecot
Client가 사용하는 메일 프로그램을 MUA(Mail User Agent)라고 한다
그중 썬더버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이다
메일을 사서함으로 전달하거나 사서함에서 Client에 보내는 기능을 MDA(Mail Delivery Agent)라고 한다
이것을 dovecot으로 사용한다
사서함끼리의 전달은 MTA(Mail Tranfer Agent)가 한다
순서 : MUA -> MDA -> MTA -> MDA -> MUA
설치가 끝났으면 이 파일부터 건드려보자
log level의 주석(dnl)을 제거해주고 레벨을 9에서 14로 변경해준다
여기도 주석을 제거해준다
데몬 옵션은 IP를 0.0.0.0으로 바꿔주거나 IP 주소부분을 지워준다 (전체 서비스)
일단은 여기까지 설정
m4 명령어
기존 파일을 새 파일로 밀어넣기 할 수 있는 기능
mail 패키지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다
sendmail.cf는 기존 내용의 끝에 sendmail.mc의 내용을 밀어넣었기 때문에 따로 설정할 것은 없지만, 39번째 줄에 의문의 띄어쓰기로 오류가 난다고 한다
지워주자
메일의 로컬 호스트네임 관리는 여기에서 한다
이렇게 호스트네임을 추가해주자
유저도 미리 추가해주면 좋다
sendmail이 우리가 쓸 계정과 IP를 알아볼 수 있게 해주자
우리가 사용할 호스트네임과 IP를 추가
makemap hash 명령어
리디렉션을 <로 사용하여 입력을 바꾼다
해당 파일을 sendmail이 알아볼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준다
이제 그룹 파일에 가서 메일에 사용할 계정을 mail 부분에 추가해준다
시작!
시작하는 김에 인증에 필요한 시스템도 시작시켜주자
sendmail 설정이 끝났으니 이번엔 dovecot을 설정하자
요 두가지의 주석만 풀어주고 저장하면 끝!
conf.d 디렉터리에서도 몇가지 설정해줄 것이 있다
지금은 이 네 가지를 건드려줄 것이다
설정을 마쳤으면 dovecot도 실행시켜준다
설정해두었던 port의 방화벽도 열어준다
이제 썬더버드를 사용할 차례다
요녀석
구글에 검색하면 간단하게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켜면 이런 로그인창이 뜬다
적당히 이름을 지정해주고, 만들어두었던 계정과 비밀번호를 사용한다
입력이 끝났으면 바로 로그인하지 않고, 아래의 Configure manually를 눌러 상세 설정에 들어가자
이런 상세 설정 창이 나오게 된다
메일 서버의 도메인을 입력해주고, 지정 port 번호를 입력해준 뒤 Re-test를 누른다
이런 안내가 뜨면 성공!
혹시라도 테스트가 잘 되지 않는다면 호스트네임을 IP로 바꿔 적어보자 (비추천)
이런식
Done을 누르면 이런 보안 관련 경고창이 뜨는데, 적당히 넘어가주자
성공적으로 로그인이 되면 이런 화면이 뜨게 되고, Finish를 누르면 메일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된다.